단기 재테크 정보(~3년)
예금과 적금 장점
-
원금손실
없음
- 은행에 거치하면 5천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되므로 원금 손실의 우려가 없음
-
추가적인
시간낭비
없음
- 펀드나 주식 거래 시 수익률/주가지수에 민감하나 예금/적금은 이런 정보을 얻기위한 시간이 덜하게 됨
-
예측 가능한
자산으로
관리 확실
- 금리와 만기일이 확실히 정해져 있어 언제 얼마만큼의 자산이 확보되는지 정확한 산정이 가능
-
수익률 걱정
없음
- 고정 금리로 인해 수익률 손실에 대한 걱정이 필요 없음
은행 예금/적금 금리
[ 정기적금 금리 순위 ]
정기적금 금리 순위
순위 |
은행명 |
상품명 |
금리(%) |
36개월 |
1 |
SH수협은행 |
파트너가계적금 |
2.00% |
2 |
전북은행 |
JB다이렉트적금(자유적립식) |
1.95% |
3 |
KDB산업은행 |
KDB Hi 자유적금 |
1.95% |
4 |
KB국민은행 |
KB 1코노미 스마트적금 |
1.90% |
5 |
제주은행 |
모아모아월복리적금 |
1.90% |
* 업데이트 날짜 : 2017-05-15
[ 정기예금 금리 순위 ]
정기예금 금리 순위
순위 |
은행명 |
상품명 |
금리(%) |
36개월 |
1 |
제주은행 |
사이버우대정기예금(만기지급식) |
1.80% |
2 |
KEB하나은행 |
e-플러스 정기예금 |
1.60% |
3 |
BNK부산은행 |
e-푸른바다정기예금 |
1.50% |
4 |
제주은행 |
제주Dream정기예금(고정금리형) |
1.50% |
5 |
케이뱅크은행 |
플러스K 정기예금 |
1.45% |
- * 업데이트 날짜 : 2017-05-15
- * 저축은행은 제외
- * 상기 안내된 금리는 「전국은행연합회(http://www.kfb.or.kr/) > 은행업무정보 > 은행금리비교」 내의 자료 기준으로 실제 가입시 차등금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.
- * 상기 자료는 가입에 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.
적금 vs 펀드 vs 변액연금 금리 비교 샘플
* 기본 예시 : 월 납입 30만원, 납입기간 : 적금&증권 3년, 보험 10년
- 적용예상이율(or 예상 수익률) 기준
- 적금 : 시중은행 3년 만기 적금이율
- 펀드 : 증권사 3년 만기 펀드가입 수익률 추정치(판매수수료 1%, 각종 보수 수수료 1.7% 적용시)
- 변액 : PCA생명 더원 변액유니버셜 기준(남. 30세)
- 총 예상수령액은 위와 같은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이며 실제 가입 시 상품의 이율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.
- 적금과 펀드의 경우 만기 시까지 거치했을 경우를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입니다.
- 위 비교표는 단순 비교를 위한 자료로 가입을 위한 예시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.